강남 1970
Gangnam Blues, 2014
개봉 2015.01.21
장르 액션/드라마
국가 한국
등급 청소년관람불가
러닝타임 135분
평점 7.2
누적관객 2,192,276명
해당 영화는 누누티비에 업로드 되었습니다
1970년, 강남땅을 향한 위험한 욕망이 춤추기 시작한다!
호적도 제대로 없는 고아로, 넝마주이 생활을 하며 친형제처럼 살던 종대(이민호)와 용기(김래원). 유일한 안식처였던 무허가촌의 작은 판자집마저 빼앗기게 된 두 사람은 건달들이 개입된 전당대회 훼방 작전에 얽히게 되고 그 곳에서 서로를 잃어버린다.
“땅 종대, 돈 용기! 끝까지 한번 가 보자!”
3년 후, 자신을 가족으로 받아 준 조직 두목 출신 길수(정진영)의 바람과 달리, 잘 살고 싶다는 꿈 하나로 건달 생활을 하게 되는 종대. 정보와 권력의 수뇌부에 닿아있는 복부인 민마담(김지수)과 함께 강남 개발의 이권다툼에 뛰어든 종대는 명동파의 중간보스가 된 용기와 재회하고, 두 사람은 정치권까지 개입된 의리와 음모, 배신의 전쟁터. 그 한 가운데에 놓이게 되는데…
[ Preface ] 모든 창작자에게는 감수성이 예민한 시기에 맞닥뜨린 핵체험이 있게 마련이다. 나에게는 강남이 공간과 시간, 이중의 의미에서 그런 원체험에 해당한다. 1974년, 이사를 와 처음 맞닥뜨린 강남은 농경문화와 도시문화가 극단적으로 충돌하는 기이한 공간이었다. 강남 개발 붐이 일면서 신식 양옥집과 황토색 황금물결, 다 쓰러져가는 집들이 공존했고, <말죽거리 잔혹사>에 나온 모교 또한 이주민과 원주민의 자식들이 책상을 나란히 하고 있었다. 그리고 어느 순간, 원주민이었던 친구들이 더 남쪽으로 밀려나 자퇴 또는 퇴학의 형태로 학교를 떠났다. 등굣길에 학생과 넝마주이로 만났던 순간들. 이후 거리의 부랑자로 불리게 된 그 친구들의 이야기를 영화로 만들고 싶다는 생각을 <말죽거리 잔혹사>가 끝날 무렵에 하게 되었다. 그러다, 강남 개발 계획의 정치적 비사를 소개하고 있는 [서울 도시계획 이야기]를 접하게 되면서 <강남 1970>은 내게 구체적 실체를 띠고 다가오기 시작했다. 돈이 지상 최고의 가치가 된 한국의 천민 자본주의. 그 양극단의 맨 얼굴이라 할 수 있는 넝마주이와 오렌지족을 다 강남에서 만났고, 그 극단의 사이를 계속 걸어가면서 경계인으로서 시도 쓰고 영화도 만들었다. 군사문화의 폭력성이 지배했던 사춘기, 수컷 되기와 남성성을 강요 받았던 고등학교 이래 <말죽거리 잔혹사>를 통해 제도 교육이 어떻게 폭력성을 키워내는가를 다뤘고, <비열한 거리>에서 돈이 형님이 되는 사회, 돈이 폭력성을 어떻게 소비하는가를 다뤘다면 <강남 1970>은 권력이 폭력을 소비하는 이야기를 다룬다. 하지만 ‘거리 3부작’을 관통하는 주제는 여전히 폭력성과 청춘이라는 두 가지 테마의 공존과 충돌, 중심에 편입되지 못하고 거리에서 배회할 수 밖에 없는 뒤틀린 청춘의 초상이다. 감독 유 하 [ ABOUT MOVIE ] <말죽거리 잔혹사> <비열한 거리> 그리고 <강남 1970> 유 하 감독의 10년에 걸친 거리 3부작 완결! <강남 1970>으로 유 하 감독의 10년에 걸친 ‘거리 3부작’이 완결된다. <말죽거리 잔혹사>에서 제도교육의 폭력성에 유린되는 청춘들을 그린 지 10년. <비열한 거리>로 돈이 폭력을 어떻게 소비하는 지를 보여준 지 8년 만이다. 유 하 감독의 거리 시리즈 완결편인 <강남 1970>은 강남땅의 개발이 막 시작되던 1970년대를 조명한다. 고아 출신의 두 젊음, 종대와 용기는 강남땅을 둘러싼 이권다툼의 최전선에서 정치권력의 행동대원이 되어 목숨을 걸고 싸운다. 그렇게 <강남 1970>은 가진 것 없는 청춘이 폭력과 만나는 드라마로서 거리 시리즈의 주제 의식을 3부작 중 가장 큰 스케일로 보여주고 있다. 한국에서 부의 상징이 된 서울 ‘강남’을 무대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강남 3부작’이자, 가진 것 없이 모든 것을 가지고 싶었던 청춘들의 초상이라는 점에서 ‘청춘 3부작’이기도 한 ‘거리 3부작’. 유 하 감독은 <강남 1970>으로 10년에 걸친 그 대장정에 드디어 마침표를 찍는다. 스타를 배우로 재탄생 시켰던 유 하 감독, 이민호-김래원의 만남! 땅과 돈을 향한 욕망으로 질주하는 거친 남자들, 스크린을 누비다! <강남 1970> 이민호와 김래원이 달라진다. 유 하 감독은 이미 <말죽거리 잔혹사>의 권상우와 <비열한 거리>의 조인성 등 젊은 남자 스타들을 배우로 재탄생 시킨 바 있다. 그는 이번 <강남 1970>에서 이민호와 김래원을 땅과 돈을 향한 욕망으로 질주하는 거친 남자들로 탈바꿈시켰다. 유 하 감독은 드라마 속 재벌 상속자로 익숙한 이민호를 가진 건 싸움 실력 밖에 없는 밑바닥 청춘 김종대로 파격 캐스팅했다. 그는 이민호라는 배우를 목숨 건 리얼 액션의 한 가운데로 밀어 넣었다. 매서운 눈빛으로 분노하고 거침없이 행동하는 <강남 1970>의 이민호에게선 사랑 앞에 눈물 짓던 그의 모습을 더 이상 떠올릴 수 없다. 스크린을 종횡무진 누비는 이민호의 거친 남성성은 낯설지만 반가운 매력으로 가득하다. 김래원 또한 뒤를 돌아보지 않는 행동력과 치열한 조직 세계에서 성공하기 위해 수단 방법을 가리지 않는 백용기로 복합적인 매력을 선보인다. 세상이 멸시하는 넝마주이에서 조직의 2인자가 되기까지 늘 긴장하고 불안해하는 감정연기와 실제 실력행사를 하며 보여주는 리얼 액션 연기까지 <강남 1970>의 배우 김래원은 또 한번 도약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강남 1970>은 이민호, 김래원이라는 젊은 두 남자 배우의 변신을 지켜보는 쾌감을 큰 스크린으로 선사할 것이다. 목욕탕 액션, 전당대회 액션, 창고 액션 등 리얼 액션 퍼레이드 <강남 1970> 촬영 기간 1주일, 연인원 150명! 몸과 몸으로 진흙탕에서 대역 없이 맞붙는다! “어떤 영화든 액션은 드라마를 위해 존재해야 한다”는 유 하 감독의 액션 연출 원칙은 <강남 1970>에서 더 큰 스케일의 ‘날 것’ 냄새 생생한 액션 신들로 발전했다. 종대와 용기가 반대편 조직원들을 쳐 나가는 과정의 액션 장면은 그 어떤 감정 신보다 더 비릿하고 묵직한 여운을 안겨준다. 또한, 야당 전당대회에 동원된 건달들이 기물을 파손하고 깽판을 치는 시퀀스는 각목과 쇠파이프가 난무, 실제 건달들이 할 법한 현실적인 몸싸움을 보여준다. <강남 1970>의 ‘생존이란 절박한 목표를 향해 움직이는 액션 시퀀스’들 중 백미는 공동묘지에서 이뤄지는 ‘진흙탕 액션’이다. 유 하 감독은 스토리상 두 남자의 운명에 큰 획을 긋는 이 장면에서 진흙탕을 목숨 걸고 뒹구는 남자들의 처절한 모습을 보여주기를 원했다. 이에 제작진은 담양의 야산을 헌팅, 1달 여 땅을 고르고, 그 위에 흙을 덮는 작업 등을 통해 공간을 만들었다. 사실적인 액션을 위해 스테디 캠을 선택, 롱 테이크로 촬영은 진행되었고, 연인원 150여 명의 배우들이 하루 12시간씩 꼬박 일주일 간 비 내리는 진흙탕 속에서 촬영했다. 대역 없이 촬영이 진행된 탓에 배우들은 끊임없는 부상과 진흙 독으로 병원을 오고 가야 했고, 한 테이크 촬영이 끝날 때마다 “부상자 없습니까?”가 연출부의 고정 싸인이 되었다. 이민호가 발톱이 들리는 부상을 당했음에도 마취제 주사를 맞아가며 촬영을 감행한 것은 <강남 1970>의 배우들이 리얼 액션을 탄생시키기 위해 어떤 전쟁을 치렀는지 잘 보여주는 예이다. 적과 아군이 구분 되지 않을 정도로 비가 뿌려대고, 걷는 것조차 쉽지 않은 진흙탕 속에서 이민호와 김래원을 비롯한 모든 배우들은 온 몸으로 뒹굴고 날아올랐다. <말죽거리 잔혹사>의 옥상 액션, <비열한 거리>의 굴다리 액션에 이어 <강남 1970>의 시그너처 신으로 기억될 만한 ‘진흙탕 액션’은 그렇게 탄생되었다.
출연진
유하 감독
이민호 주연
김래원 주연
정진영 출연
설현 출연
한재영 출연
오제근 출연